오늘은 기존 프로젝트를 EC2 위에서 실행하며, 테스트 하는 정도만 진행하겠다.
EC2 인스턴스 생성 및 네트워크 설정 하는 부분은 생략!
도커 설치
# 도커 설치
sudo yum install docker -y
# 도커 버전 확인
docker -v
# sudo 없이 실행 하도록
sudo usermod -aG docker ec2-user
# 서비스 등록/실행
sudo service docker status
git 설치
sudo yum install git -y
도커 컴포즈 설치
아래 2.29.7 부분은 각자 원하는 버전에 맞춰 설치하면 됩니다.
- 버전 확인 https://github.com/docker/compose/releases
- docs https://docs.docker.com/compose/install/standalone/
# 도커 컴포즈 설치
$ sudo curl -L "https://github.com/docker/compose/releases/download/v2.29.7/docker-compose-$(uname -s)-$(uname -m)" -o /usr/local/bin/docker-compose
# 실행권한 추가
sudo chmod +x /usr/local/bin/docker-compose
프로젝트 실행
이전에 docker 환경을 구성해둔 프로젝트 실행. 이 테스트 후 해당 서버로 CI/CD 적용 예정이다.
git 을 통해 프로젝트를 clone 받고 이전 게시물에서 설정했던 docker-compose 명령어를 입력했다.
# git clone
git clone <repo 주소>
cd <repo>
# 서비스 실행
BACKEND_PORT=5986 FRONTEND_PORT=80 NODE_ENV=prod docker-compose up
난 80으로 포트 포워딩을 해뒀고, 보안그룹에도 80 port 를 열어두었다.(aws는 ocp 와 달리 보안그룹 설정만 해도 접근 가능하다.)
아래 퍼블릭 url로 접속 시 서비스로 연결되면 제대로 설정된 것이다.
'토이프로젝트 > CICD 도입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젝트 CI/CD 도입기 -6 (CodeDeploy 설정하기-1) (0) | 2024.10.10 |
---|---|
프로젝트 CI/CD 도입기 -5 (Github action으로 s3에 업로드) (1) | 2024.10.08 |
프로젝트 CI/CD 도입기 -3 (컨테이너화) (1) | 2024.09.30 |
프로젝트 CI/CD 도입기 -2 (환경 설정 분리) (0) | 2024.09.27 |
프로젝트 CI/CD 도입기 -1 (2) | 2024.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