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K8s를 사용하여 웹서버 배포 및 helm에 대한 복기가 필요한 상황이 생겨 개인적으로 공부하고자 했으나
AWS EKS 등의 과금은 꽤 부담되는 터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GCP 를 사용하고자 한다.
GCP 란?
Google Cloud Platform 의 약자로, AWS와 더불어 현업에서 많이 사용하는 Cloud 플랫폼이다
계정 당 1회 300$ 의 크레딧을 최대 3개월까지 사용가능하도록 제공해 줘 학습 및 추후 GCP로 운영 전환 하기에도
많은 도움을 준다.
GCP에서 K8s 무료 사용해보기
1. GCP에 접속하여 무료로 시작하기 클릭 (사전 구글 계정 로그인 필요)
2. 계정 설정하기
3. 결제 정보 입력
직접 따로 결제를 하겠다고 설정하지 않는 한 실수로 과금될 일이 없다
4. K8s 활성화
개인정보를 입력 후 화면에 들어오면 좌측 상단에 햄버거 버튼을 클릭한다.
모든 제품 > 컴퓨팅 -> Kubernetes Engine을 클릭하여 api 활성화를 클릭한다.
5. 클러스터 만들기
활성화가 되면 아래와 같이 Kubernetes 클러스터 대시보드를 볼 수 있는데 클러스터 만들기를 클릭힌다,
클러스터 스펙을 설정하는 부분이다. 난 리전만 설정하고 만들기를 클릭했다.
만들기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클러스터가 3~5분 정도 팬딩 후 생성된다.
마무리
간단히 K8s를 만드는 실습을 진행해 봤다.
무료로 사용가능하다는 큰 이점이 있어 K8s로 간단히 테스트해볼 일반 유저는 GCP를 이용해 보면 좋을 것 같다.
다음 포스팅에선 MAC 환경에서 만들어둔 GCP K8s를 접속해 보는 실습을 진행할 예정이다.
참고
무료로 쿠버네티스 쉽게 계속 사용하기(GKE)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사용하고 있는 노트북 혹은 데스크톱의 CPU와 Memory가 충분하다면 로컬에 Docker Desktop을 이용하면 손쉽게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축
suwani.tistory.com
'IT 기술 > K8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ncher + k3s Single node 구축 (ubuntu) (0) | 2025.02.27 |
---|---|
MAC에서 쿠버네티스 in GCP 접근하기 (1) | 2025.01.25 |